하드코드 된 중요 정보
- 어떤 데이터가 코드내에 그대로 입력된 것을 하드 코딩되었다고 한다.
- 중요 정보가 소스코드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소스코드 노출 시 중요 정보가 그대로 제 3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.
- 개발 시 개발자가 편의를 위하여 입력 받아야 할 정보를 소스코드 내에 바로 입력함으로써 실행 시 UI상에서 입력하지 않고 바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하드 코딩된 취약점 중하나이다.
- 인시큐어뱅크 앱에서는 총 3곳에서 하드코딩 된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다.
진단방법
- 코드 분석 시 암호화 클래스 부분을 상세 분석하도록 한다.
- 중요 정보 문자열 검색을 통해 검토 및 조치한다.
하드 코딩된 키
하드 코딩된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
대응방법
- 중요정보가 하드코딩 되지 않도록 코드를 지우거나 중요정보가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조치하도록 한다.
'인시큐어뱅크 활용 안드로이드 모의해킹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취약한 로깅 메커니즘 (0) | 2020.12.22 |
---|---|
취약한 암호화 구현 (0) | 2020.12.22 |
취약한 액티비티 컴포넌트 (0) | 2020.12.22 |
사용자 계정 목록화 (0) | 2020.12.22 |
취약한 인증 메커니즘 (0) | 2020.12.22 |